전경하
전경하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전경하 기자입니다.
주간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택배 차량과 안전

    택배 차량과 안전

    버스 운전기사가 짜증을 냈다. 버스 정류장에서 1m쯤 떨어진 곳에 택배 차량 두 대가 서 있었다. 정류장에 진입하는데 뒤에 있는 택배 차량 운전사가 버스는 아랑곳하지 않고 운전자석 문을 활짝 열고 올라탔다. 그 순간 버스와의 간격이 5㎝나 됐을까.가끔 교차로에서 차량 한두 대 공간 뒤에 세워진 택배 차량을 만난다
  • 헐값에 넘어간 국유재산

    헐값에 넘어간 국유재산

    ‘황장엽 안가’로 알려진 서울 강남구 논현동 72-10. 1997년 우리나라로 망명한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가 2010년 사망하면서 건물의 존재가 알려졌다. 지하철 7호선 학동역 인근 지하 1층~지상 2층 건물은 이후 통일부 회의실 등으로 쓰이다가 2024년 8월 공매에 나왔다. 다섯 차례 유찰되고 한 달 뒤 1
  • 부동산 정책과 그 피해자들

    부동산 정책과 그 피해자들

    ‘한국 주택시장 정말 과열인가’. 10·15 대책 발표 이후인 지난달 24일 나온 하나증권 보고서다. 서슬 퍼런 대책과 비교해 제목이 도발적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중위 주택가격의 소득 대비 비율(PIR)은 최근 몇 년간 큰 변화가 없다. 서울에선 주택담보대출 차주의 평균 소득이 2019년 5700만원에서 올
  • 활짝 핀 ‘K뷰티’

    활짝 핀 ‘K뷰티’

    화장품법은 2012년 전면 개정됐다. ‘제조 등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가 아니면 쓸 수 있는 네거티브 방식이 도입됐고 사업자는 제조업자와 제조판매업자로 구분됐다. 뛰어난 아이디어만 있다면 제조업자들이 그 아이디어를 화장품으로 만들어 낸다. 세계적 연구·개발·생산(ODM) 업체인 코스맥스와 한국콜마의 경영 철학은
  • 도망자

    도망자

    얼마 전 경찰서에서 피해자 조사를 처음 받았다. 지난달 추돌사고를 당했는데 가해 차량 운전자가 도망가서다. 왜 도망친 것 같냐고 묻길래 음주운전 같아서라고 답했다. 사고 소식을 들은 주변 사람들 추측이었다.조사를 받다가 알았다. 음주운전 사고는 면허 정지가 보통 2년이고 뺑소니는 4년으로 처벌이 더 중하다는 것을
  • KBS와 넷플릭스

    KBS와 넷플릭스

    추석 당일 저녁, 혼자 있는 엄마한테 전화했다. 엄마 목소리는 썰물처럼 허전했다. 명절을 맞아 밀물같이 몰려왔던 자식과 손주들이 떠난 흔적이 그대로 담겼다. 조용필 콘서트를 KBS에서 시작한다는 말에 엄마의 반가움이 전해졌다. 매달 내는 시청료가 아깝지 않다는 생각을 아주 오랜만에 했다.엄마는 넷플릭스를 모른다.
  • 금융정책 감독, 조직 아닌 운영을 따져라

    금융정책 감독, 조직 아닌 운영을 따져라

    금융감독체계 개편 논의가 반복된다. 지금 체계는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인 2008년 완성됐다.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당시 후보는 금융소비자보호원(금소원) 설치를 공약으로 내놨다. 정부안도 국회에 제출됐지만 무산됐다. 차선책으로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제출됐다. 이마저도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 이후인 문재인 정부
  • 리튬이온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배터리(전지)는 재충전 가능성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건전지처럼 한 번 쓰고 버리면 일차전지, 휴대전화나 전기자동차 배터리처럼 충전되면 이차전지다. 자동차 배터리도 충전이 가능하니 이차전지다. 납축전지라 불리는데 부피가 크고 수명이 짧다. 지금도 내연기관 자동차의 배터리는 납축전지다. 부피를 줄이고 수명은 늘
  • 나물 반찬 인심

    나물 반찬 인심

    고향 친구들과 1박 2일 여행을 하면서 남원에서 한식집을 두 군데 갔다. 두 곳 모두 나물 반찬은 맛있었지만 인심이 달랐다. 7명이서 3명과 4명으로 나눠 각각 한 테이블에 앉았는데, 한곳은 반찬을 한 젓가락이면 다 먹을 수 있을 정도만 줬다. 더 먹으려면 종업원을 불러야 했다. 다시 갖다 주는 양도 여전히 적었
  • 자원탐사와 대왕고래

    자원탐사와 대왕고래

    공공기관인 한국석유공사는 2020년부터 자본잠식 상태다. 해외 자원 개발에 실패한 탓이다. 캐나다 하베스트 유전에 9조원 가까이를 퍼붓고도 지금까지 회수율은 0.6%에 불과하다. 영국 석유회사 다나에도 7조원 넘게 들어갔지만 지금까지 거둔 이익은 절반을 조금 넘는다. 이명박 정부 시절 정치적 치적을 위해 무분별한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