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초적인 청색에서 옅은 옥색까지, 다채로운 푸른빛이 넘실대는 항구 풍경이 가슴 밑바닥까지 시원하게 파고든다. 경남 통영에서 나고 자란 화가 전혁림의 작품 ‘통영풍경’(1992)이다. 생동감 넘치는 색채와 활기찬 구도의 그림에서 고향을 향한 작가의 깊은 애정이 또렷이 느껴진다.제주 출신 변시지는 특유의 황토색으로
내일 취임 100일을 맞는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밝힌 ‘모두의 대통령’이라는 약속에 걸맞게 소통과 통합에 공을 들이고 있다. 취임 직후부터 기업인들을 여러 차례 대통령실로 초청해 회동했고, 지난 4일에는 양대 노총 위원장과 만났다. 그제는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 이어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단독 회동도 했다
‘이른 아침 작은 새들 노랫소리 들려오면/언제나 그랬듯 아쉽게 잠을 깬다/창문 하나 햇살 가득 눈부시게 비쳐오고/서늘한 냉기에 재채기할까 말까.’며칠 전 출근길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가을 아침’ 노래에 무거웠던 발걸음이 한결 가벼워졌다. 양희은의 원곡에 더 친숙한 세대이긴 하나 아이유의 리메이크곡도 청량한 가을
약속에는 묘한 힘이 있다. 가벼운 농담처럼 던진 말이 누군가를 하루 종일 설레게 하고, 사소한 만남의 약속이 관계를 이어 주는 끈이 되기도 한다.얼마 전 TV에서 본 다큐멘터리가 그 사실을 새삼 깨닫게 했다. 10년 전 다큐에 출연한 청년들과의 재회 약속을 지키기 위해 제작진이 다시 길을 나선 이야기였다. 201
박근혜 정부는 출범 첫해인 2013년 11월 전기요금을 평균 5.4% 인상했다. 산업용은 6.4%, 가정용은 2.7% 올렸다. 한국전력공사와 발전 공기업들의 부채가 100조원이 넘고 수요 급증에 따른 대정전을 막으려면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이후 국제유가 급락으로 전기료는 동결됐다. 2016년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계엄과 탄핵에 이르게 된 근원은 호가호위 친윤(친윤석열) 세력과 그들에 빌붙어 자리 하나 구걸하던 사람들이다. 그들이 정권을 망하게 했고, 이제 마지막 남은 당까지 말아먹으려 한다”고 친윤 진영을 직격했다. 윤 위원장은 8·22 전당대회를 열흘 앞둔 어제 페이스북을 통해 “‘윤 어게
얼마 전 지인의 부친상에 조문을 같이 간 일행이 장례식장을 나오며 “밥 한 공기 더 먹고 싶었는데 차마 달라는 얘기를 못 했다”면서 살짝 아쉬워했다. 저녁 식사 시간이 지난 때라 배가 꽤 고팠던 모양이다. “그건 좀 예의가 아니지”라며 농담조로 타박했지만 나도 육개장 한 그릇을 맛있게 비운 참이었다.장례식장에서
유명해진다는 것은 많은 사람의 관심과 시선을 받는 일이다. 정치인, 연예인, 스포츠 스타, 인플루언서처럼 영향력이 크거나 인기가 높은 이들은 존재만으로 대중의 박수와 환호를 받지만 동시에 사소한 실수에도 쉽게 비난의 대상이 된다.이름이 알려진 탓에 겪는 불편이나 곤욕을 일컬어 흔히 유명세(有名稅)라고 한다. 유명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지난겨울, ‘헌법주의자’를 자처하던 국가 지도자의 반헌법적 내란 행위에 분노한 시민들은 헌법 제1조 1항과 2항을 가슴에 품고 거리로 뛰쳐 나왔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혼란과 분열 속에서 자발적으로 헌법을 읽고
이재명 정부 1기 내각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청문회 일정이 이제 후반부로 접어들었다. 의혹의 당사자들이 입이라도 맞춘 듯 하나같이 “청문회에서 모두 소명하겠다”고 하길래 혹시나 했다. 언론과 국민의힘이 의심하는 것처럼 그 배경에 ‘청문회 하루만 버티면 된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고 해도 일말의 기대를 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