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영 정치부 차장
이관섭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은 지난 2일 국민의힘 당협위원장 워크숍에서 특강을 했다. 그는 “집권 1년 차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이유는 지난 대선에서 우리를 지지하지 않았던 진보 지지층이 여전히 ‘안티 세력화’돼 있어서다”라며 “국회에서는 거대 야당이 발목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이 수석은 한국노총의 광양제철소 고공농성과 경찰의 진압에 대한 방송 보도를 예로 들었다.
정치부 기자라면 여당을 출입하든 야당을 출입하든 이런 푸념을 수없이 듣는다. ‘언론이 너무 편향적이다’, ‘상대방에게만 유리하게 보도한다’, ‘우리 이야기를 보도하지 않는다’는 식이다. 이 수석의 ‘기울어진 운동장’ 발언이 유독 데자뷔 같은 건 문재인 정부 시절에도 집권 여당의 단골 레퍼토리였기 때문이다.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기울어진 운동장’을 수차례 거론하며 경쟁자인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보다 언론 지형이 자신에게 불리하다는 취지로 비판했다. 이 대표는 2021년 11월 12일 부산에서 “언론 환경이 매우 나빠서 우린 잘못한 게 없어도 잘못했을지 모른다는 소문으로 도배된다”며 “상대방은 엄청나게 나쁜 짓을 해도 아무 문제가 없는 것처럼 넘어간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틀 뒤 경남 거창에서도 “기울어진 운동장과 나쁜 언론 환경을 이겨 낼 수 있도록 여러분이 작은 실천을 하면 큰 변화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뿐만이 아니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2021년 1월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추미애의 생각은 이렇다”며 “검사 출신 장관일 때는 편하게 지휘하고 전혀 어색해하지 않고 받들었던 것인데 이른바 비검사 출신 장관이 들어서면 어색해하고 언론을 통해 과도하게 왜곡시키고 시끄러워진다”고 했다. 추 전 장관에 대한 언론의 보도가 편향적이라고 지적한 것이다.
어떤가. 발언의 주체만 바뀌었을 뿐 ‘기울어진 운동장’은 내용 측면에서 달라진 것이 없다. 집권당이나 정부에서 유독 ‘기울어진 운동장’을 언급하는 현상은 어떻게 보면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과 유사하다. 국민의힘이든 민주당이든 집권당만 되면 ‘언론 지형이 불리하다’고 항변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언론의 정파성 문제와 별개로 언론은 정부 발표, 여당의 대책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다. 야당에는 귀를 덜 기울이는 것이 속성이다. 정부와 집권당은 국정을 운영하는 주체로서 야당과는 비교할 수 없는 책임감을 갖기 때문에 더 많은 비판과 지적이 따라온다. 그것이 민주주의의 근본 원리인 ‘견제와 균형’에도 맞는다. 그런데도 ‘기울어진 운동장’은 집권당의 단골 메시지가 돼 버렸다.
‘기울어진 운동장’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저서 ‘운명이다’에서 언급한 것이 시작이다. 노 전 대통령은 이렇게 썼다. “대한민국 정치는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하는 축구 경기와 비슷하다. 진보 세력은 죽을 힘을 다해도 골을 넣기 힘들다.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꿔 놓지 않으면 앞으로 진보 세력이 승리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민주화 이후 정권 재창출과 정권 교체가 반복되며 8명의 대통령이 탄생했다. 국민의힘 계열에서 5차례, 민주당 계열에서 3차례 대통령을 배출하는 등 양당은 번갈아 가며 집권했다. 노 전 대통령이 정치를 하던 시절은 보수 계열 대통령 일색이었지만, 지금 상황은 매우 다르다. 기성 언론의 영향력이 많이 줄어든 것도 현실이다. 정부와 여당이 언론 탓을 하기에는 ‘집권’의 무게가 너무 무겁다.
2023-06-09 2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