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캐나다 산불 연기에… 美, 13개 주 ‘대기질 경보’ 발령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6-09 02:26 미국·중남미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400여곳 산불 한 달째 진화 안 돼
뉴욕 공기질 세계 최악 ‘황색 공포’
당분간 비 안 내려 피해 확산 우려

재난 영화 보듯… 푸른빛 잃은 뉴욕 하늘 캐나다 동부 지역의 산불 연기가 7일(현지시간) 13개주에 걸쳐 약 1억명이 사는 미국 동북부 지역까지 뒤덮자 뉴욕 펠럼 메모리얼 고등학교의 한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이 창문 가리개를 내리고 있다. 뉴욕의 공기질 지수는 한때 341까지 치솟아 인도 델리를 제치고 세계 최악을 기록했다. 뉴욕 AP 연합뉴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재난 영화 보듯… 푸른빛 잃은 뉴욕 하늘
캐나다 동부 지역의 산불 연기가 7일(현지시간) 13개주에 걸쳐 약 1억명이 사는 미국 동북부 지역까지 뒤덮자 뉴욕 펠럼 메모리얼 고등학교의 한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이 창문 가리개를 내리고 있다. 뉴욕의 공기질 지수는 한때 341까지 치솟아 인도 델리를 제치고 세계 최악을 기록했다. 뉴욕 AP 연합뉴스

캐나다 앨버타주를 시작으로 1개월간 계속되는 산불에 미국 환경 당국이 1억명 이상의 주민에게 대기질 경보를 발령했다. 산불 연기에 오렌지색이 된 뉴욕의 공기질은 인도 델리, 중국 베이징 등을 제치고 전 세계 최악을 기록했다. 화재가 쉽게 진압되지 않는 데다가 비 소식도 당분간 없어 광범위한 건강 피해가 우려된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7일(현지시간) “캐나다 산불로 인한 연기가 미국으로 수백 마일을 이동하면서 대서양 연안 중부에서 북동부 및 오대호 상부 일부에 걸쳐 대기질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대기질 지수가 150을 넘을 때 발령되는 대기질 경보가 내려진 13개 주 인구가 1억명이 넘는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이날 뉴욕시의 공기질 지수는 400을 넘으면서 1999년 측정을 시작한 이후 최악이었다. 환경기업 아이큐에어 수치에 따르면 이날 밤 10시(미 동부시간) 기준 뉴욕의 공기질 지수는 264로 전 세계 주요 도시 중 가장 오염도가 높았고, 2위는 파키스탄 라호르(205)였다.

최악의 공기에 뉴욕 학교에서는 방과후 활동을 제한했다. 브로드웨이에서 ‘해밀턴’, ‘햄릿’ 등 유명 공연이 취소됐고 프로야구 경기 등도 연기됐다. 캐나다 산불의 연기는 미국과의 국경에서 1000㎞ 이상 떨어진 지역까지 미쳤다.

앨버타주에서 동부 퀘벡주 일대까지 확산된 산불의 진화 작업은 건조한 날씨와 강풍, 소방 자원 부족 등으로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여전히 414곳에서 산불이 지속되고 있으며 절반에 달하는 200여곳은 불길이 너무 강해 진화 작업이 진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미 대륙 서부에서 자주 발생했던 산불 사태가 동부에서도 발생하자 기후변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미 우리나라 면적(약 10만㎢)의 3분의1이 넘는 380만 헥타르(3만 8000㎢)의 캐나다 국토가 소실됐다. 캐나다 당국은 오는 12일 이전에는 비 예고가 없다고 밝힘에 따라 미국은 바람의 방향이 바뀌면서 공기 상황이 나아지기만을 바라고 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2023-06-09 19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