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속어=가짜뉴스’ 확고한 尹… 유감 표명도 외교라인 문책도 없다

‘비속어=가짜뉴스’ 확고한 尹… 유감 표명도 외교라인 문책도 없다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2-09-26 22:22
수정 2022-09-27 01: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순방 성과 자평하며 공세 전환

처음엔 ‘사적발언’ 수세적 해명
야권 공격 거세지자 강경 선회
“허위 보도, 국민 안전에 악영향”
강대강 대치 계속 땐 국정 부담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주 영국·미국·캐나다 순방을 마친 뒤 처음 출근한 26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로비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한 뒤 집무실로 향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주 영국·미국·캐나다 순방을 마친 뒤 처음 출근한 26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로비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한 뒤 집무실로 향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지난주 해외 순방을 둘러싼 논란을 반박하고 적극적으로 외교 성과를 내세우며 공세적으로 전환하고 나섰다. 야권의 반발을 감수하고서라도 비판 여론에 적극 대응하며 국정 운영에 미칠 파장을 막아서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주최 뉴욕 행사장에서 불거진 이른바 ‘비속어 논란’에 대해 “사실과 다른 보도”라고 반박했다. 해당 논란이 정쟁이 아닌 ‘팩트체크’의 대상이라고 규정한 것으로, 전날 김대기 비서실장이 고위당정협의회에서 ‘가짜뉴스 근절’을 언급한 것과 궤를 같이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당초 대통령실은 관련 논란을 대통령의 ‘사적발언’이라는 논리로 반박했지만, 이 같은 수세적 대응이 오히려 야권에 공격의 빌미를 준다고 판단하고 대응 수위를 높였다. 윤 대통령이 진상 규명 필요성까지 언급한 것은 문제의 발언에 대한 사실관계를 다퉈도 불리하지 않다고 내부적으로 판단한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특히 대통령실 일각에서는 ‘비속어 논란’을 두고 이명박(MB) 정권 초기인 2008년 당시 국정을 흔든 ‘광우병 사태’를 떠올리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현재 대통령실 참모 가운데 MB 정부 때 인사들이 적지 않은데, 이들 중 상당수는 MB 정권이 MBC PD수첩의 광우병 보도를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가 큰 화를 자초했다고 보고 있다.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순방외교와 같은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총성 없는 전쟁에서 허위 보도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악영향”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대통령실은 첫 유엔총회 연설과 세일즈 외교 등 이번 순방의 성과가 정쟁에 묻혀서는 안 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스탠딩 환담’으로 이뤄진 한미 정상 간 회동은 바이든 대통령의 뉴욕 일정이 축소되며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고, ‘약식’으로 이뤄진 한일 회담도 한국 대통령을 만나는 것에 부정적 기류가 적지 않은 일본 내부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게 대통령실 측의 설명이다. 따라서 야권이 요구하는 윤 대통령의 유감 표명이나 외교안보라인 문책이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바이든 대통령은 중간선거를 앞두고 있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정권은 20%까지 지지율이 떨어지며 위기인 상황을 고려하면 이번 한미·한일 회담은 선방한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다만 강대강 대치가 길어질 경우 국정운영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통령실 내 고민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논란의 발언에서 나온 ‘이 ××들’이 우리 국회를 지칭한 것이었다는 김은혜 홍보수석의 기존 해명에 대해 “야당을 지목한 것은 아니다. 야당에 소명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2022-09-2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