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The Blue Dream/승연례 · 홍어/조성순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The Blue Dream/승연례 · 홍어/조성순

입력 2020-07-30 20:26
수정 2020-07-31 02: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홍어/조성순

첫사랑엔 깊은 바다 냄새가 난다

기억의 밑바닥에 움츠리고 있다가

융히 부상하여

왜 나를 돌아보지 않느냐고 닦달하는

낙동강 하구 모래톱 같은 날들이 흘러도, 흐르지 않고

아무렇지도 않게 눈 비비고 부스스 일어나

도끼눈 뜨고 흘겨보는 진드기여

태생부터 달랐다 두메에서 나고 자란 나와

비 오는 날 흙탕물 질펀한 인사동 어느 골목길이었던가

술 귀신이 데려온 느닷없는 입맞춤이여

코 막고 엉겁결에 넘어버린 선이여

그렇게 비린내와 함께 우리는 하나가 되었다

두부모는 잘라져도

기억은 칼이 감당할 수 없었다

사라진 듯하다가 돌아오고

쓸려 간 듯하다가 밀려왔다

비라도 부슬부슬 내리면

첫사랑은 오묘한 향기를 풍기고

나는 하릴없어

너를 만나러

얼큰한 첫사랑을 뵈러 간다

첫사랑이라는 말은 인간과 동의의 개념이다. 첫사랑이 없는 인간은 존재할 수 없다. 어머니는 모든 인간의 첫사랑이며 살면서 대상은 확산된다. 좋아하는 그림 여행 신 향수 영화 시. 궁핍한 이들을 위한 배려와 관심. 모두 첫사랑의 스펙트럼 안에 있다. 깊은 밤 홀로 서식지를 배회하는 짐승. 사막의 오아시스에 핀 꽃. 모두 첫사랑을 그리워하는지 모른다. 시인은 삭힌 홍어를 먹으며 첫사랑을 떠올린다. 독한 암모니아 내음 속에서도 첫사랑의 기억은 가슴을 설레게 한다. 첫사랑이라는 단어가 있으므로 인류는 22세기를 만날 수 있을지 모른다.

곽재구 시인
2020-07-3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