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성녀도 영웅도 아닌, 마녀도 죄인도 아닌… 인간 조앤의 신념

성녀도 영웅도 아닌, 마녀도 죄인도 아닌… 인간 조앤의 신념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2-09-25 19:54
업데이트 2022-09-26 0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잔 다르크 다룬 ‘세인트 조앤’ 연출 김광보·배우 백은혜·이승주

잔 다르크 영웅화 걷어 낸 원작
타락한 정치·종교 속 여인 얘기


金 “인간적 모습 드러내려 애써”
白 “주인공 힘·신념·믿음에 주안”
李 “샤를 7세 역사 배제하고 접근”
조앤(잔 다르크) 역을 맡은 배우 백은혜. 국립극단 제공
조앤(잔 다르크) 역을 맡은 배우 백은혜.
국립극단 제공
평범한 시골 소녀가 프랑스의 영웅이 되기까지, 또 휘몰아치는 질투와 시기가 그를 절벽으로 몰아세울 때까지 영웅의 가면에 가려져 있던 잔 다르크의 진짜 얼굴을 추적하는 공연이 찾아온다.

국립극단이 다음달 5일부터 30일까지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세인트 조앤’을 무대에 올린다. 세계적인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1856~1950)가 노벨문학상을 받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된 희곡으로 백년 전쟁을 승리로 이끈 잔 다르크의 이야기를 다룬다.

김광보 국립극장 단장 겸 예술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며 배우 백은혜, 이승주가 각각 조앤(잔 다르크) 역과 샤를 7세 역을 맡았다. 최근 서울역 인근에서 세 사람을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이들은 이 작품이 기존과 다른 시선으로 인물을 그린 것에 매력을 느꼈다고 입을 모았다. 김 연출은 “우리가 익히 아는 잔 다르크 얘기지만 버나드 쇼는 잔 다르크를 영웅이나 성인으로 그리지 않고 그의 인간적 모습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뒀다”며 “신념이 어떻게 무너지고 좌절되는가를 추적하는 연극”이라고 소개했다. 백은혜는 “항상 연출님이 ‘이 작품을 하는 이유는 사람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말한다”며 “잔 다르크가 어떻게 그렇게 큰일을 해냈을까, 리더가 됐을 때 그 힘은 어디에 있었을까, 힘, 신념, 믿음 등에 주안을 뒀다. 버나드 쇼도 그렇게 희곡을 썼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연극 ‘세인트 조앤’의 주역과 연출. 왼쪽부터 배우 이승주, 백은혜, 김광보 국립극장 단장 겸 예술감독.  국립극단 제공
연극 ‘세인트 조앤’의 주역과 연출. 왼쪽부터 배우 이승주, 백은혜, 김광보 국립극장 단장 겸 예술감독.
국립극단 제공
이어 이승주는 “(샤를 7세가) 실존 인물이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로 접근하다 보면 갇히는 부분이 있을 것 같다”며 “사료는 배제하고 희곡에서 샤를 7세를 어떻게 그렸는지, 좀더 선명하게 관객에게 전달할 방법은 뭘까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100여년 전 쓰인 고전이지만 이념의 양극화가 심화돼 무엇이 진실인지 알기 어려운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한 물음을 던진다. 작품은 정치, 종교가 타락한 시대의 한가운데 서 있던 ‘병사의 복장을 한 여성’으로, 별난 여인 취급을 받는 조앤이 신념을 지키기 위해 죽음까지 불사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김 연출은 “조앤이 진실을 찾아 가는 과정에서 그 진실이 어떻게 오도되고 망가지며 화형에 처하는지 보여 줌으로써 동시대성을 획득할 것”이라며 “개인의 신념이 사회 구조나 타인에 의해 배제되고 짓밟히면서 가치가 전도되는 상황은 인간 사회에서 지속해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며 지금 이곳에서도 형상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2020년 11월 김 연출은 국립극단 예술감독으로 임명되며 문화행정가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임기 동안 연출을 맡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랬던 그가 다시 연출에 나서게 된 이유는 뭘까.

“‘왜 연출을 하지 않느냐’는 주변 이야기도 있었고, 제가 생각하는 작업을 보여 주는 것도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3년 만의 연출인 데다 예술감독으로 하는 첫 번째 작품이라 너무 부담스럽지만 다시 연출가로서 서니 온몸에 전율이 느껴지고 살아나는 느낌이 들어요.” 김 연출은 이 작품을 ‘숨겨진 카드’라고 치켜세웠다. 그는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언젠가는 꼭 도전하고 싶었던 작품”이라며 “우리 사회가 여전히 비범한 인물을 두려워하고 맞아들일 준비가 덜 돼 있는 것은 아닌지 연극을 통해 질문하고 싶다”고 힘주어 말했다.

윤수경 기자
2022-09-26 2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