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내 이름은 고니/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내 이름은 고니/탐조인·수의사

입력 2022-01-23 20:26
업데이트 2022-01-24 0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20. 1. 전북 김제. 날갯짓하는 큰고니.
2020. 1. 전북 김제. 날갯짓하는 큰고니.
“저기 저 오리는 두루미랑 몸통 크기가 비슷해.”

맞네, 오리 엄마도 자기 새끼인가 보다 하고 데려다 키웠는데, 새를 잘 모르는 사람이 보면 고니도 오리라고 생각할 수 있지. 사실 큰고니도 오리과니 오리라고 부르는 게 영 틀린 것은 아니다.

“저기 좀 봐. 거위가 있어.”

그렇다. 집거위는 야생 기러기의 한 종류인 개리를 길들이고 개량해 만든 종인데, 개리는 기러기 중에서도 목이 가장 길고 우아해서 영어 이름이 ‘swan goose’, 즉 고니 기러기다. 게다가 큰고니도 거위처럼 몸이 하얗고, 거위의 몸집이 고니처럼 크니 새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큰고니를 거위라고 추측하는 것도 그럴 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겨울철 넓은 물 위에서 큰 몸집으로 곤곤곤하며 우렁차게 울고 먹이 활동을 하는 고니류는 거의 다 큰고니다. 큰고니 외에 고니와 혹고니도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보내지만 그 수가 아주 적어 주변에 보이는 고니들은 대부분 큰고니라고 생각하면 된다. 큰고니는 두루미와 비슷한 정도로 몸통이 큰,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새 중에 가장 무겁고 몸집이 큰 새 중 하나다. 몸이 크기 때문에 하늘을 날기 위해서는 물 위를 타타타타 달리며 도움닫기를 해야 하고 몸을 띄우기 위해 에너지 소비가 몹시 크니, 특히 물가에서 드론을 날려 고니들을 뜨게 만드는 것은 아주 나쁜 행동이다. 그것이 ‘가축’ 방역을 위해 소독약을 뿌리기 위한 것이라도 말이다.

고니는 긴 목을 물속 진흙에 박고 갈대나 연 같은 수생식물의 뿌리를 파먹기 때문에 먹이 활동 뒤에는 흙이 묻어 얼굴이 아주 꼬질꼬질하다. 그래도 저녁에는 자러 가기 전에 더러워진 얼굴을 물로 씻어 깨끗하고 하얀 그야말로 ‘백조’가 된다. 동화 미운 오리 새끼와 차이콥스키 발레 ‘백조의 호수’의 주인공 ‘백조’가 바로 고니다.

그런데 고니라는 이름은 알면서도 고니가 백조인지 모르는 사람들도 있고, 백조라는 이름은 알지만 고니는 모르는 사람들도 있다. 백조는 고니를 부르는 일본 이름으로 그저 하얀 새라는 뜻이니 백조보다는 ‘곤~’ 하는 울음소리에서 유래한 고유의 이름 고니가 더 정겹고 발음하기에도 예쁘지 않은가? 다음에 강이나 호수 등 넓은 물에서 아주 크고 몸이 하얀, 거위처럼 보이는 오리를 본다면 “고니야” 또는 “큰고니야” 하고 불러 보자.
2022-01-24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