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보당국 “北 로켓 중대시험, 고체 아닌 액체연료 사용한 듯”

정보당국 “北 로켓 중대시험, 고체 아닌 액체연료 사용한 듯”

이주원 기자
입력 2019-12-09 22:50
업데이트 2019-12-10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전문가 중대시험 전후 위성사진 게재

이미지 확대
北 ‘중대 시험’ 전후
北 ‘중대 시험’ 전후 상업용 위성업체 플래닛랩스가 지난 7~8일 북한 서해위성발사장의 ‘중대 시험’ 전후를 촬영한 모습. 시험 전 모습인 왼쪽 사진과 달리 시험 후 모습이 담긴 오른쪽 사진에서는 시험대 옆(원 안)으로 엔진시험 때 가스가 분출된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엿보인다. 왼쪽 사진에 있던 차량과 물체도 일부 사라졌다. 미국 핵 전문가 제프리 루이스 미들베리국제학연구소 비확산센터 소장은 8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해당 사진을 공개했다. 제프리 루이스 트위터 캡처
“北 지표면 달라져… 연소시험 흔적인 듯”
北, 다음 단계인 위성발사 실행 가능성도
미군, 한반도 상공 정찰기 띄워 대북감시


정보당국이 지난 7일 북한이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실시한 ‘중대한 시험’과 관련해 액체연료 엔진을 시험한 것으로 파악했다.

국회 정보위 관계자는 9일 “정보당국이 최근 북한이 실시한 엔진시험에 대해 고체연료가 아닌 액체연료를 이용한 시험으로 단정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정보당국은 북한의 동창리 발사장이 고체연료를 시험할 수 있는 장소가 아니며, 그동안 액체연료를 시험하는 장소로 사용돼 온 점을 들어 이 같은 결론을 냈다고 했다”고 말했다. 또 정보당국은 다양한 경로를 활용해 이번 시험을 파악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7일 ‘중대한 시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하면서 구체적인 시험 결과나 장면 등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군사 전문가들은 통상 고체연료는 수평으로 시험하지만 동창리는 수직시험장이라는 점 등을 토대로 신형 액체엔진 또는 ‘백두산 엔진’의 클러스터링(결합) 시험이 이뤄졌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현재 북미 간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면서 북한이 엔진시험의 다음 단계인 위성발사에 나설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 관계자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보다는 위성발사체 발사에 나서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한편 북한이 엔진 연소시험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 정황이 상업용 위성에 포착됐다. 미들베리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센터’의 책임자 제프리 루이스 소장은 이날 트위터에 상업용 위성업체 플래닛랩스가 지난 7~8일 서해위성발사장의 ‘중대 시험’ 전후를 촬영한 사진을 비교하며 “서해에서 로켓 엔진시험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위성사진을 보면 엔진시험이 끝난 지난 8일에는 7일 식별됐던 차량과 물체가 일부 사라졌다. 또 시험대 옆 지면이 7일에 비해 가스 분출로 어지러워진 모습도 눈에 띈다. 엔진 연소시험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북한의 중대 시험 이틀 뒤인 이날 민간항공추적 사이트 ‘에어크래프트 스폿’에 따르면 미 공군 주력 정찰기 ‘리벳 조인트’ RC135W가 경기 남부 상공 9.4㎞를 비행하면서 최근 미국이 대북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9-12-10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