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교황은 말한다, 때론 용서 구할 때 다리가 놓인다고

교황은 말한다, 때론 용서 구할 때 다리가 놓인다고

김성호 기자
입력 2018-12-11 17:38
업데이트 2018-12-12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담집 ‘공존을 위한 8가지 제언’… 석학이 묻고 교황이 답하다

지구촌 감싸는 당대 실존적 문제 망라
2016년부터 12차례 만난 佛 석학 볼통
“어떤 해법도 종교·신앙으로부터 나와
교황을 이해하려면 훨씬 더 노력해야”
이미지 확대
‘역사상 대중에게 가장 사랑받는 교황’이라는 프란치스코 교황과 프랑스 최고 석학 중 한 사람으로 통하는 도미니크 볼통이 바티칸 ‘성 마르타의집’에서 대담을 하기 전 반갑게 인사를 나누고 있다.  책세상 제공
‘역사상 대중에게 가장 사랑받는 교황’이라는 프란치스코 교황과 프랑스 최고 석학 중 한 사람으로 통하는 도미니크 볼통이 바티칸 ‘성 마르타의집’에서 대담을 하기 전 반갑게 인사를 나누고 있다.
책세상 제공
1282년 만에 탄생한 비유럽권 출신이자 역사상 최초의 예수회 출신 교황인 프란치스코. 그는 사제들에게 ‘거리로 나가서 낮은 자세로 부닥치라’고 외치며 스스로도 세계 각지를 돌며 화해와 평화의 전령으로 보편적 종교의 순명을 실천하고 있다. ‘역사상 대중에게 가장 사랑받는 교황’이라는 수식어가 새삼스럽지 않은 프란치스코, 그는 과연 누구일까. 대담집 ‘공존을 위한 8가지 제언’(책세상 펴냄)은 청빈과 겸손, 소박의 교황인 프란치스코의 심층을 볼 수 있는 텍스트로 눈길을 끈다.

프랑스 최고 석학중 한 사람으로 통하는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의 리서치 디렉터인 도미니크 볼통과 바티칸 ‘성 마르타의집’에서 2016년 초부터 12차례 만나 허심탄회하게 나눈 이야기 묶음이다. 대담에는 정치와 사회, 인간과 종교를 비롯해 지구촌을 감싸는 당대의 실존적 문제가 망라돼 있다. 공교롭게도 대담은 지금 뜨거운 이슈인 유럽 난민과 이주민에 대한 물음표를 찍으면서 시작된다. 교황은 난민과 이주민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이미지 확대
“우리의 신학은 이주민의 신학입니다.” 교황은 역시 신앙에서 해법을 찾고 있다. “아브라함이 하느님의 부름을 받은 이후로 우리 모두는 이주민입니다. 예수님 자신도 망명자요, 이주민이었지요.” 인간의 존엄성이란 필연적으로 ‘길 위의 존재’를 내포한다고 했던가. 그래서인지 교황은 “걷는다는 것, 늘 길 위에 있다는 것, 그것은 항상 소통한다는 뜻”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면서 유럽은 그 뿌리로 돌아감으로써 스스로를 다시 찾아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유럽은 지금 두려워하고 있어요. 그래서 문을 닫고, 닫고, 또 닫고….”

프란치스코는 “지금 세상은 3차 세계대전을 치르고 있다”는 말을 자주 입에 올린다. 그 전쟁을 놓고는 이렇게 잘라 말한다. “‘전쟁을 하는 것은 나를 방어하기 위해 달리 할 수 있는 길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어떤 전쟁도 정당하지 않습니다. 정당한 것은 오직 하나, 평화뿐입니다. 전쟁으로는 모든 것을 잃지만 평화로는 모든 것을 얻지요.”

“정치란 가장 높은 형태의 자선 가운데 하나입니다. 모두의 공동선을 지향하기 때문입니다.” 교황이 내린 정치에 대한 정의다. 그렇다면 종교는 이 혼탁한 세상에서 어떤 해법을 내놓을 수 있을까. ‘하느님은 아우슈비츠 어디에 계시느냐’는 대담자의 질문이 날카롭다. “저는 하느님이 어디에 계시는지 알지 못합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 인간이 어디에 있는지는 알고 있습니다. ‘하느님은 왜 이런 일을 허락하시느냐고 묻기 십상입니다. 하지만 그 모든 일을 저지르고 있는 건 바로 우리입니다.”

교회는 다리를 놓음으로써 정치에 봉사해야 한다는 프란치스코 교황. 그는 이렇게 말한다. “정치의 도구란 바로 근접성입니다. 우리는 설득을 잃어버렸어요. 다리를 놓읍시다. 함께 일합시다. 용서를 구하세요. 때로는 용서를 구할 때 다리가 놓입니다.”

1년여의 만남 끝에 볼통은 이런 말을 남겼다. “교황에게서는 모든 것이 종교와 신앙으로부터 나온다. 철저히 정치적인 문제들을 다루려 해도 우선 종교와 신앙이 개입된다. 사회적으로는 프란치스코 회원 같고, 지적으로는 도미니코회원 같고, 정치적으로는 예수회원 같다. 하여간 그는 매우 인간적이다. 그가 어떤 사람인지 이해하려면 훨씬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8-12-12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