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러시아 연해주에서 서울 풍납토성처럼 축조한 옛 발해 성터 발견

러시아 연해주에서 서울 풍납토성처럼 축조한 옛 발해 성터 발견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10-25 18:35
업데이트 2018-10-25 18: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문화재연구소, 러시아 스타로레첸스코예 발해 평지성 발굴조사

러시아 연해주 남서부에 자리한 옛 발해 토성이 한성백제의 도성인 서울 풍납토성과 같은 방식으로 축조된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와 함께 지난 8~9월 연해주 남서부 라즈돌나야 강가에 자리한 스타로레첸스코예 발해 평지성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스타로레첸스코예 유적은 발해의 지방행정구역 15부 중 솔빈부(率濱府)의 옛 땅에 있는 평지성으로, 서쪽과 북쪽, 동쪽으로 라즈돌나야 강(옛 이름 솔빈강)이 흘러 해자(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밖을 둘러 파서 못으로 만든 곳) 역할을 하고 있으며 150m 길이의 남벽과 30m 길이의 짧은 서벽이 남아있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 연해주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과 주변 모습.
러시아 연해주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과 주변 모습. 문화재청 제공


이번 조사에서는 스타로레첸스코예 유적 성벽의 전체 규모와 축조 방식을 확인했다. 성벽은 강자갈과 점토로 기초를 다진 후 중심부를 사다리꼴 모양으로 판축기법을 사용해 쌓고 다시 흙으로 덧쌓아 축조됐다. 중심부는 점토층과 모래층을 번갈아 가며 20겹 정도를 쌓았고, 판축한 점토층의 윗면에서는 목봉(木棒) 등으로 다진 흔적을 확인했다. 판축은 판자를 양쪽에 대고 그 사이에 흙을 단단하게 다져 쌓는 건축방식으로, 서울 풍납토성도 같은 방식으로 축조됐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 연해주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 지하식 저장고 세부 모습.
러시아 연해주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 지하식 저장고 세부 모습. 문화재청 제공


강 때문에 훼손되고 있는 성 내부 서편에서는 강돌을 이용한 지상 구조물의 흔적과 함께 구덩이를 판 후 돌을 쌓아 벽을 축조한 지하식 저장고가 확인됐다. 저장고 내부에서는 발해 토기, 동물 뼈, 물고기 뼈와 비늘, 철제 손칼 등이 출토됐다. 특히 원통형인 다리 세 개가 흑회색 작은 항아리의 편평한 바닥에 부착된 삼족기(三足器)가 발견됐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 연해주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 출토 삼족기.
러시아 연해주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 출토 삼족기. 문화재청 제공


삼족기는 발해 유물 중에서는 거의 출토되지 않는 유물로 발해의 수도였던 상경성(현재 중국 헤이룽장성 닝안시 인근)에서 2점이 출토된 적이 있다.

연구소 측은 “유적이 중국 동북지역에서 연해주로 흐르는 강가에 위치하고 다수의 저장용 구덩이가 성 내부에 있는 점, 삼족기와 원통형 기대 조각 등 고급 기종이 확인되는 점 등으로 볼 때 조사지역이 발해의 중심부에서 연해주 동해안으로 진출하는 데 중요한 물류거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