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남북, 이번에도 이산가족 ‘전면 생사’ 확인 뒤로 미뤄

남북, 이번에도 이산가족 ‘전면 생사’ 확인 뒤로 미뤄

입력 2018-06-22 21:06
업데이트 2018-06-22 2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남측 수석대표인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이 22일 북한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남북적십자회담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8. 6. 22 사진공동취재단
남측 수석대표인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이 22일 북한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남북적십자회담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8. 6. 22 사진공동취재단
남북이 22일 금강산에서 열린 적십자회담에서 3년 만의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합의했지만, 이번에도 일회성 상봉을 넘어서는 근본적 해법을 공동보도문에 담지는 못했다. 남측은 이번 회담에서 상대측에 있는 가족·친척들의 전면적 생사확인, 서신교환, 고향 방문 등을 북측에 제기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우리측 수석대표인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은 “이산가족 근본 문제 해결을 위해 생사확인부터 시작해서 정례적으로 만나고 심지어 성묘까지 가고 화상상봉을 하든지 고향방문단을 만든다는 것까지 쭉 내가 (북측에) 얘기했다”고 말했다.

이산가족들의 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한 번에 100명 정도씩 만나는 지금의 상봉 방식으로는 이산가족의 한을 풀어주기는 요원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북측 반응은 “아주 진지하게 생각했다”는 게 박 회장의 전언이다. 그러나 근본적 해법이 합의문에 담기지 않은 점에 비춰 북측이 여전히 이들 문제에 소극적으로 나온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남측은 과거에도 적십자회담 등의 계기에 수시상봉, 전면적 생사확인 등의 문제를 제기했지만, 북측은 이를 선뜻 받아들이지 않았다. 행정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를 들기도 했지만, 북한으로서는 일반 주민이 남측과의 접촉면이 넓어지는 데 대해 부담을 느끼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남북은 향후 적십자회담과 실무접촉 등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인도적 문제들을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이 자리에서 이산가족문제의 근본적인 해법이 논의될 것이라는 게 박 회장의 설명이다. 박경서 회장은 이날 오전 동해선 남북출입사무소에서 취재진에게 “이산가족의 한을 풀어드리겠다”고 각오를 다졌지만, 시간이 더 필요한 셈이다.

북측의 반응이 여전히 미지근하지만, 정부는 이미 관련 준비에 착수했다. 통일부는 북측과 전면적 생사확인에 합의할 때를 대비해 지난 11일부터 ‘남북 이산가족 전면적 생사확인’과 ‘고향 방문 및 영상편지 제작’에 참여할지를 묻는 수요 조사를 이산가족 전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북에 가족이 살아있는지를 알아야 대면 상봉은 물론 화상 상봉과 고향 방문, 서신 교환 등의 교류가 더욱 원만하게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이산가족 등록자는 총 13만2124명이며 이 중 7만5234명이 사망했고, 5만6890명만 생존해 있다. 생존자 중 70세 이상이 전체의 85.6%인 4만8703명에 이르며, 매달 수백 명의 이산가족 신청자가 꿈에 그리던 가족을 만나지 못한 채 숨지고 있다.

이산가족 상당수는 북에 있는 가족의 생사조차 알지 못하는 실정이다. 통일부가 2016년 진행한 ‘이산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이산가족 중 74.7%는 북한 내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