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잇따른 구설수 이대목동병원 ‘왜 이러나’...X선진단착오, 벌레 수액까지

잇따른 구설수 이대목동병원 ‘왜 이러나’...X선진단착오, 벌레 수액까지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12-17 22:41
업데이트 2017-12-17 23: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번 사망사고 신고도 병원이 아닌 유가족측인 것으로 드러나

서울 이대목동병원에서 미숙아 4명이 동시다발적으로 숨지면서 또 다시 구설수에 올랐다.
이미지 확대
이대목동병원 잦은 구설수
이대목동병원 잦은 구설수 이대목동병원에서 신생아 4명이 잇달아 숨지는 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양천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6일 오후 9시부터 11시 사이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 인큐베이터에서 치료 중이던 신생아 4명이 잇따라 숨졌다.
2017.12.17 뉴스1
지난 16일 오후 9시 31분~오후 10시 53분까지 1시간 30분이 채 안되는 시간 동안 신생아 중환자실 인큐베이터에서 치료받던 신생아 4명이 순차적으로 응급조치를 받다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의료계에서도 “이례적”이라는 반응을 보일 정도로 초유의 사고였다.

이번 사고를 비롯해 이대목동병원은 최근 몇 년 간 잇따라 의료사고가 터져 병원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2014년 7월 좌우가 뒤바뀐 X선 필름영상으로 축농증 환자 수백명을 진단한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사건을 조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 따르면 잘못된 X선 영상으로 진료받은 578명 중 양쪽 코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217명, 한쪽 코에만 문제가 있는 경우가 123명으로 다행히 한쪽 코에만 문제가 있었던 환자들 중 수술받은 사례는 없었다.

또 지난 9월에는 요로감염으로 입원한 생후 5개월 영아에게 수액을 투여하던 중 벌레가 발견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결과 병원측 과실이 아닌 수액세트 제조사 잘못인 것으로 최종 확인됐지만 병원 이미지는 실추됐다.

일부 네티즌들은 “예전에 이대목동병원 인근에서 살았는데 주민들의 병원 평이 매우 안 좋았다”며 “잦은 의료사고 때문에 이대목동병원이 아니라 일부러 다른 병원을 찾는다는 이야기도 들었다”고 전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몇 년 전 아이가 밤중에 갑자기 장염증상을 보여 어린이 응급실이 있다고 해서 이대목동병원을 찾은 적이 있다”며 “어린이 응급실이라고 해서 찾았는데 아이 혈관을 찾지 못해 수액투여를 위해 주사바늘을 4~5번을 꽂았다 뺐다 하는 것을 본 뒤로는 쳐다도 안본다”고도 언급했다.

병원 관계자는 “이번 사망사고의 정확한 원인이 나오지 않고 아직 병원측 과실이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경찰 부검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섣부른 추측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한편 한겨레는 이대목동병원이 이번 사망사고가 발생하고도 곧바로 보건당국에 알리지 않는 등 안이하게 대처했다고 17일 보도했다.

112에 신고가 접수된 것은 사망사고가 난 뒤 10여분 뒤인 16일 밤 11시 7분쯤으로 신고자는 병원 관계자가 아닌 숨진 신생아의 보호자 중 한 명이었으며 두 시간 뒤 17일 새벽 1시 관할인 양천구 보건소에 전화로 사고 소식을 알린 것도 병원측이 아닌 경찰이었다고 한겨레는 보도했다.

일반적으로 병원은 병원내 연쇄사망 사고 때는 감염병 여부를 판단해 관할 보건소에 상황을 알리고 역학조사를 받아야 함에도 이대목동병원은 통상적 조처 이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고도 병원측은 17일 기자회견에서 “새벽 1시께 보건소에 병원이 신고했다”고 발표해 자진신고한 것처럼 주장했다. 일부 유가족들은 기자회견에 대해서도 “유가족들에겐 아무런 설명없이 언론 브리핑부터 하고 있다”고 항의해 병원측이 책임을 덜기 위해 언론플레이를 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